풍속고도분포지수
소개
|
---|
참조표준 DB 제정의 필요성
에너지는 국가발전의 동력원으로,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근본 요소이다. 국내외의 에너지 분야에서는 재생에너지 활용 및 건물 에너지 효율화 등이 중요한 화두이다. 이를 위한 국가적 지원 정책이 늘어나고 있으며, 관련 산업도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녹색성장의 동력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및 산업육성에 평가 기준이 되는 신재생에너지의 속성자료가 필요하다. 에너지원별 속성 데이터의 참조기준 및 표준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 및 데이터의 신뢰성을 제고함으로서 국민적 수용을 사회 저변으로 더욱 확충할 수 있다.
풍속고도분포지수는 지면 위 고도에 따른 풍속의 분포를 나타낸다. 지수법칙에 의해 같은 지점 두 개 이상의 높이에서 측정된 풍속 자료로 풍속고도분포지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풍속고도분포지수가 결정되면 임의의 높이에서의 풍속을 산정할 수 있다. 즉,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회전구간 전체에 대한 풍속분포를 예상하고, 보다 정확한 풍력자원평가가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현재는 풍속고도분포지수를 하나의 대표 풍속고도분포지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풍속고도분포지수는 대기의 안정도 및 주변 지형의 거칠기에 현저한 영향을 받으므로 하루 동안 시간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신재생에너지 자원센터에서는 풍속고도분포지수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간대별 풍속고도분포지수를 산정하여 참조표준 데이터로 등록하였다. |
기대효과
|
활용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