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강판 동적물성
소개
|
---|
참조표준 DB 제정의 필요성![]()
에너지 절약 및 이산화탄소 등 환경오염 물질의 저감을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의 경량화가 촉구되고 있다. 차량 경량화는 충돌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충돌성능과 경량화를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차량 경량화와 충돌안전성능을 동시에 향상하기 위한 차체설계를 위해서는 차량 충돌의 정밀 수치해석 기술 및 최적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자동차의 충돌성능과 관련된주요 구조부재는 철강재료로 이루어져있으며 그 무게는 전체의 약 70%에 달한다. 따라서 정밀 차량 충돌해석 및 최적설계를 위해서는 자동차용 강판의 정확한 물성치 대입이 필요하다.
철강재료는 변형률속도에 따라 그 물성치가 민감하게 영향을 받으므로 철강재료의 물성치는 변형률속도를 고려하여 대입되어야 한다. 차량 충돌 시 차체 내 변형률속도는 최대 수백/sec 에 이르므로 준정적에서 최소 102/sec 수준의 변형률속도를 아우르는 물성치의 확보가 요구된다. 자동차용 강재로 사용되는 High strength steel(HSS), Advanced high strength steel, Ultra high strength steel(UHSS) 등의 강판에 대한 동적물성 참조표준을 제정하고 자동차 업계 및 부품 생산업체에 보급하여 자동차 및 관련 산업 전반의 품질향상 및 경쟁력 확보를 제고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활용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