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뇌 MR영상
소개
|
---|
참조표준 DB 제정의 필요성![]()
뇌졸중은 단일 질환으로서 우리나라 사망률 1위를 차지하며, 예후의 대부분은 신체 장애를 가지게 되어 환자 가족의 고통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노동력 상실과 환자 부양비용 증가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크게 된다.
임상에서 얻어지는 뇌졸중 영상자료는 graphic file format으로서 수치자료로 이루어진 기타 임상정보와 달리 통계 및 정량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서 객관적인 분석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어렵고 개인과 국가가 분담하는 형식으로 고가의 비용을 지불해가며 얻어내는 귀중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국민보건자료로서의 역할을 못하고 있다. 따라서, 참조표준 확보를 통해 국내 뇌혈관질환 임상연구의 기준 정립 및 관련 의료서비스 수준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고 한국인 뇌MR영상 참조표준이 확보되면 뇌혈관질환의 발병을 사전에 예상하여 예방적 치료를 통해 의료비 및 사회적 비용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뇌혈관질환 진단 자동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뇌혈관질환 관련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가능하다. |
기대효과
|
활용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