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소재 고온 인장물성
소개
|
---|
참조표준 DB 제정의 필요성
열에너지를 운동, 전기 등 다른 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는 그 온도가 높아질수록 효율이 증가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스팀 발전 보일러이다. 화력 발전의 경우도 그 효율을 높이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보일러의 주증기(main steam) 온도와 압력을 (물이 끓는) 임계점 이상(초임계, SC)으로 높이는 것이다. 주증기 온도와 압력이 550 ℃, 22 MPa 이하인 아임계 PC(미분탄) 발전기의 경우 발전 효율(net efficiency)이 35 % 이하인데, 25 MPa 이상의 압력에서 온도를 600 ℃ 이상(USC)으로 상승시키면 효율을 42 %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혹 조건에서 가동하는 고온 압력 설비 제작(건설)을 위한 핵심 기술은 적합소재 선정, 구조 설계(관 두께 결정 등) 등의 소재 기술이다. 이 기술의 지향 목표는, 목표한 기간(예, 30년) 동안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고온 압력 설비를 경제적으로 건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 자료가 신뢰성이 확보된 금속소재 고온 역학물성 데이터이다. |
기대효과
|
활용도
|